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2번강좌에서 설치한 Domain Server에 대한
일반 Member들의 가입방법에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
Chapter1 - SVR1, CL1 IP설정하기
도메인 서비스를 설치하지 않는 점만 봤을때 순서는 전과 동일 합니다.
-------------------------------------------------------------------------------------------------------------------------------------------------
Chapter2 - SVR1, CL1 컴퓨터 이름 및 도메인 설정
이제 본격적으로 도메인에 가입 시켜보겠습니다. 시스템에서 작업하는거 다들 아시죠?
[컴퓨터] -> 오른쪽마우스 [속성] -> [시스템]에 시스템 속성에 들어가 다음과 같이 도메인을 추가 합니다.
여기서 잠깐!! 작업 그룹과 도메인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작업그룹(Work group) | |
모든 컴퓨터는 어떠한 컴퓨터도 다른 컴퓨터를 제어할 수 없습니다. | |
▶ 각 컴퓨터에는 사용자 계정 집합이 있습니다. 작업 그룹의 컴퓨터에 ▶ 일반적으로 20대 이하의 컴퓨터가 있습니다. ▶ 작업 그룹은 암호로 보호되지 않습니다. ▶ 모든 컴퓨터가 같은 로컬 네트워크나 서브넷에 있어야 합니다. |
도메인 (Domain) |
네트워크 관리자는 서버를 사용하여 도메인의 모든 컴퓨터에 대한 보안 및 사용 권한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모든 컴퓨터에 변경 내용이 |
▶ 도메인에 사용자 계정이 있는 경우 도메인의 컴퓨터에 계정이 없어도 모든 컴퓨터에 로그온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관리자는 컴퓨터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 설정을 ▶ 도메인에는 수천 대의 컴퓨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컴퓨터가 다른 로컬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습니다. |
결론! 보안적인 측면, 관라적인 측면 효율적인 측면에서 Domain이 훨씬 운영하기 좋습니다.
[설치 확인을 누르면 contoso.com administrator계정의 승인이 필요하다 암호를 입력!후 재부팅]
(SVR1, CL1 동일하게 따라하시면 됩니다)
-------------------------------------------------------------------------------------------------------------------------------------------------
Chapter3 - 확인하기
여기서 중요한건 사용자 전환을 사용하여 [사용자 이름]@[도메인 이름] 형식 접속을 하여야 합니다. 그럼 뭐라고 치면 될까요??
정답은! administrator@contoso.com 입니다!
[정삭적으로 contoso.com 도메인에 연결된 모습]
'IT STUDY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Server] 2. Active Directory (AD)설치 및 설정하기 (0) | 2013.10.15 |
---|---|
[WinServer] 1. VMware를 이용하여 서버환경 만들기 (0) | 2013.10.14 |
[홈 폴더 만들기] 로컬 경로, 드라이브 연결 하기 (0) | 2013.07.23 |
[로그온 스크립트 만들기] 계정 생성, 공유 폴더 생성, 로그온스크립트 만들기, 적용 (0) | 2013.07.23 |
첫번째 HTML 과제 (HTML Frame 이용하기) (1) | 201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