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Cisco Router를 설정을 하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유용한 명령어와
자주 발생하는 오류 메세지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 Packet Tracer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명령어
Chapter 1 - ? 키의 사용
?키는 다음에 대한 명령어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키 입니다. 윈도우 탐색기의 *와 같은 역할이라고 보면되겠습니다.
Exec commands:
<1-99> Session number to resume
auto Exec level Automation
clear Reset functions
clock Manage the system clock
configure Enter configuration mode
connect Open a terminal connection
copy Copy from one file to another
debug Debugging functions (see also 'undebug')
delete Delete a file
dir List files on a filesystem
disable Turn off privileged commands
--More-- ← enter키를 누르면 하나씩 space를 누르면 한페이지씩 다음 문자를 출력한다.
Router#cl? ← cl을 친후 ?를 친다면 cl다음에 오는 clear와 clock 이 두 명령어가 보여지겠죠?
clear clock
Chapter 2 - Tab키의 사용
Tab키는 CLI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명령어를 제대로 쳤는지 확인을 하고싶은데 긴 명령어를 치는것에 부담을 느끼셨죠?? 그렇다면 Tab키를 사용해보세요!!
Router#configure terminal ← terminal이라는 단어가 자동완성!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
Chapter 3 - Ctrl+Z키 사용
만약 높은 인터페이스에 작업이 위치해있을때 exit, exit를 연타하기 귀찮으셨죠?? Ctrl를 누르고 Z키를 누르면 프리빌리지 모드로 간편하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Router(config-if)#^Z ← ctrl 키가 문자로는 ^로 표시된다는거 아시죠?
Router#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 Packet Tracer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 메세지
Chapter 1 -인식 실패 메세지
다음 메세지는 라우터가 clok이라는 정확하지 않는 명령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것을 호스트 이름으로 인식한 메세지 입니다.
Translating "clok"...domain server (255.255.255.255) ← 브로드 캐스트를 하기때문에 대기시간이 아주 많이 걸린다..
% Unknown command or computer name, or unable to find computer address
Chapter 2 - 불완전한 명령어 입력 시
명령어가 완벽하지 않고 뒤에 다음 명령어를 추가해야 될때 나오는 메세지 입니다.
% Ambiguous command: "con"
Chapter 3 - 맞지 않는 형식 또는 오타로 인한 명령어
IP설정시 형식에 맞지 않거나 명령어에 오타가 발생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메세지
^
% Invalid input detected at '^' marker.
Chapter 4 - 현재모드에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 입력 오류
현재 부분에서 사용될 수 없는 명령어 사용시 나오는 메세지
% Incomplete command.
'IT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Layer] RIP -- 이론 -- (0) | 2013.11.04 |
---|---|
[Router]AD (Administrative Distance) (0) | 2013.11.04 |
[Router] SPF(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알고리즘 (0) | 2013.11.03 |
[Router] Dynamic Routing (0) | 2013.10.31 |
[Cisco PacketTracer] 설치 및 인터페이스 설명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