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터 라우터 설정 방법은 디폴트 네트워크를 통하는 방법과 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Static Routing을 이용한 설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 Default Route란 무엇 인가?
디폴트 라우트란 경로를 찾아내지 못한 모든 네트워크들이 향하는 길로서, 즉 여러가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길을 다 찾아도 목적지를 못 찾은 네트워크가 있다면 무조건 이곳으로 가라고 말해준다.(주로 외부로 향할때 사용 G/W)
▶ Default Routing와 Static Routing의 차이
스태틱 라우팅은 그냥 특정 목적지를 가기 위한 구성이지만, 디폴트 라우팅은 특정 목적지를 지정하지 않고 목적지가 없는 패킷에 대해서는
모두 디폴트로 지정한 곳에 간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 Default Route를 만드는 2가지 방법
Default Route를 만들기 위한 방법은 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성과 스태틱 명령을 이용하는 방법 두가지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은 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구성이라는 점 기억 하세요!
Chapter 1 - Default Route 만들기
# R1,R2 Router를 이용한 실습 #
A,B 2개의 라우터에 대해 Default Route를 설정해보자.
(A라우터에 대해서는 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성을 B라우터에 대해서는 스태틱 명령을 이용해 구성)
1.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성
2.스태틱 명령을 이용한 구성
Chapter 2 - Default Route 구성 확인하기
show ip route 명령어를 통해 default Route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Codes: C - connected, S - static, I - IGRP, R - RIP, M - mobile, B - BGP
D - EIGRP, EX - EIGRP external, O - OSPF, IA - OSPF inter area
N1 - OSPF NSSA external type 1, N2 - OSPF NSSA external type 2
E1 - OSPF external type 1, E2 - OSPF external type 2, E - EGP
i - IS-IS, L1 - IS-IS level-1, L2 - IS-IS level-2, ia - IS-IS inter area
* - candidate default, U - per-user static route, o - ODR
P -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
S* 0.0.0.0/0 [ 1/0 ] via 172.16.0.1
'IT STUDY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 6. RIPv2 이론, 실습 (0) | 2013.11.13 |
---|---|
[Router] 5. RIP 라우터 구성 (0) | 2013.11.07 |
[Router] 3. Static Routing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 (0) | 2013.10.25 |
[Router] 2. 라우터 기본설정 및 IP설정 (0) | 2013.10.25 |
패스워드 설정 및 RIPv2 설정 (0) | 201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