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시간에는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 실패시 보내지는 ICMP와 P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 란?
IP는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애나 중계 라우터 에러에 대처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로 패킷이 네트워크상에 떠도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데이터의 사고에 대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ICMP이다.
-IP헤더의 Protocol 값 (1)
그렇다면 헤더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1) ICMP Type
- ICMP는 크게 질의, 오류보고 2가지로 나누어 진다.
질의 |
에러보고 |
네트워크 문제 진단 - 타입이 질의일 경우에 코드 값은 의미가 없다.(하지만 특정 질의에선 사용됨) |
문제 발생 시 에러메세지 전달 |
1.에코 : 0(응답)/8(요청) 3.주소 마스크 : 17(요청)/18(응답) |
1.수신처 도달 불가 : 3 3.라우트 변경(재지정) : 5 5.파라미터 불량(매개변수 문제) : 12 |
## ICMP Network 진단 type 별 묶음 ##
Echo Request(8) Reply(0) |
1) 연결 테스트 2) 선택적 필드 3) 선택적 데이터 |
타임 스탬프 요청(13) / 응답(14) |
1) 시스템간 시간 정보 동기화 2) 선택적 필드
|
경로 요청(10) / 광고(9) | |
1) 라우팅 테이블 확인용 2) 경로 요청 |
3) 경로 광고 (9) (2) 선택적 데이터 = routing table의 경로 |
2) ICMP Code
- ICMP Code는 목적지 도달 불가 코드, 재지정 코드, 시간 초과 코드, 파라미터 문제 코드 4가지로 나누어진다.
목적지 도달 불가의 경우 코드 값 (type 3) |
2,3번은 목적지 호스트에 의해서만 생성될 수 있고, 나머지는 라우터에 의해서 생성된다. |
0 : 네트워크에 도달 불가 - 하드웨어 고장등의 이유로 목적지 네트워크에 도달 못한다.(알고는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도달하지 못한다.) 1 : 호스트에 도달 불가 – 하드웨어 고장 등의 이유로 목적지에 도달 못한다.(알고는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도달하지 못한다.) 2 : 프로토콜 도달 불가 – 해당 목적지까지 도착은 했지만 데이터를 전달해야 할 서비스 프로토콜이 동작하지 않고 있어서 전달하지 못한다. 3 : 포트 도달 불가 – 해당 목적지까지 도착은 했지만 데이터가 프로세스로 전송되어야 할 포트가 막혀있어서 전달하지 못한다. 4 : 단편화 불가 – 단편화가 필요하지만 IP헤더의 DF가 1로 설정되어서 단편화가 일어나지 않아서 데이터를 전달하지 못한다. 5 : 발신지 경로 실패 – 발신지에서 라우팅을 하지 못한다. 6 : 목적지 네트워크를 알 수 없다. – 목적지 네트워크의 경로를 알 지 못한다, 7 : 목적지 호스트를 알 수 없다. : 호스트의 위치를 알 지 못한다. 8 : 발신지 호스트 고립 9 : 목적지 네트워크와 통신이 관리상 이유로 금지 10 : 목적지 호스트와의 통신이 관리상의 이유로 금지 13 : 관리자가 필터를 설치해서 호스트에 도달할 수 없다. |
유형 4) 송신 속도 낮춤
- 지연발생시 라우터에서 출발지의 데이터 전달 속도를 제어
유형 11) 시간초과 메세지
- IP의 TTL값이 만료되었을 때
유형 5) 재지정 코드(redirect message)
- 경로 재설정을 지시
- 선택적 필드(4byte) ->변경될 G/W주소
유형 12) 파라미터 문제 코드
- 헤더의 필드값이 잘 못 들어가서 목적지에서 해석하지 못할
- 선택적 필드(1byte:PTR) = 원본 IP패킷에서 필드값이 잘못된 부분을 주소로 나타냄
▶ Ping 이 란?
ICMP Echo Request 메세지를 전송하여 목적지 시스템으로 부터 ICMP Echo Reply 메세지로 응답을 받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을 검사 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 연결이 유효한지 확인)
- Ping Test는 command 창에 ping [목적지 IP or 목적지 주소) 형식으로 사용 가능
[Windows CMD에서 사용 모습]
'IT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 IaaS, PaaS, SaaS란? (3) | 2020.04.03 |
---|---|
[Transport Layer] TCP -- 이론 -- (0) | 2013.11.18 |
[TCP/IP 구조] 인터네트워킹 장비 (리피터,허브,브리지,라우터) (0) | 2013.11.06 |
[Network Layer] IP -- 이론 -- (0) | 2013.11.05 |
[Network Layer] RIP -- 이론 --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