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과제로 역시 연습문제 풀기
홈페이지에 조차 답이없어서 애먹었었다.
1. Windows Sever 2003의 운영체제를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로 분리 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 선점형 운영체제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중요한 데이터를 엑서스하고 수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모드와 커널모드, 이 두가지 프로세서 엑서스 모드를 사용한다.
2. 레거시 장치를 제외한 현재 대부분의 PnP장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커널 모드 드라이버는 WDM을 사용한다. WDM의 드라이버 스택 구조를 설명 하시오.
→ WDM 드라이버의 스택은 크게 장치 드라이버 / 버스 드라이버 부분으로 나누어 지는데,
기능 드라이버 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드라이버 이면서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 드라이버를 감싸는 상/하위 필터 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버스 드라이버는 SCSI, PCI, 병렬 및 직렬 포트와 같은 입출력 버스를 제어며 디바이스 탐자를 책임지고 PnP 및 전원과 관련된 기본적인작업을 처리한다.
필터 드라이버 는 선택적인 드라이버로서, 장치의 동작에 값을 더하거나 수정하는 역할을 하며 비장치 드라이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3. WDM을 지원하는 Windows의 버전을 나열하시오.
→ Windows98 이후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데 대표적으로 Windows 98SE, Windows 2000, Windows ME, Windows XP,
Windows 2000 server, Windows server 2003, Windows server 2008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8 등이 있다.
4. Windows Server 2003 실행부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 I/O관리자: I/O 서브 시스템은 패킷에 기반을 둔 시스템으로 모든 I/O 요청은 IRP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파일시스템, 장치 드라이버,
캐시 관리자를 포함 한다.
→ 보안 참조 모니터: 로컬 컴퓨터의 보안 정책을 수행한다.
→ 프로세스간 통신 관리자: 프로세스들 사이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행위 또는 그에 대한 방법이나 경로를 뜻함. LPC,RPC로 구성되어 있다.
→ 가상기억장치 관리자: 가상기억장치를 관리한다.
→ 프로세스 관리자: 최종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단위로 프로세스의 시작, 중지, 재시작, 종료, 우선순위 제어 관리를 수행함.
→ PnP 관리자: 디바이스를 시작, 정지 그리고 제거하고 디바이스에 대 한 질의 하기위해 IRP들을 직접 전달한다. 부팅때 활성화 되어
PnP 장치를 구성함.
→ 전원 관리자: 전원에 관련된 사항을 관리한다.
→ Windows 관리자 및 GDI :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관리한다.
→ 개체 관리자: 스레드를 포함한 운영체제의 여러 가지 개체를 생성, 관리, 삭제 한다.
→메모리 관리자: 프로그램에 메모리를 할당하고 필요없을땐 다시 해제하여 컴퓨터의 메모리를 관리한다.
5. Windows Server 2003의 개발에 영향을 미친 Windows에 대해 기술하시오.
→ Windows server 2003 은 Windows 2000 server 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2000 server는 파일서버, 응용프로그램 서버. 웹 서버,
4SMP(Symmetric Multiprocessing)지원 , 4개의 프로세서를 지원 하고 4GB의 메모리를 지원하며, 액티브 디렉터리 및 그룹정책,
터미널 서비스, 동적 DNS 서버 IP를 자동으로 할당할수있다.
6. Windows Server 2003과 UNIX계열의 운영체제가 각각 두각을 보 이는 서버 응용분야를 나열하시오.
→ Windows Server 2003 은 응용 분야 멀티미디어 지원분야 처럼 SQL을 서비스 하는 서버로는 UNIX 보다 더 앞서므로 기업 쪽으로는
Windows Server 2003이 적합하며, 웹서버와 메일서버 등 이 우세한 UNIX는 웹서버 구축에 적합하다.
7. 마이크로소프트가 무료로 배포되는 LINUX에 대항하여 주장하고 있는 TCO 절감 효과에 대해 설명하시오.
→ LINUX는 운영체제가 무료이긴 하지만 주요 LINUX 공급 기업과 배포판 유통 기업들이 기술 서비스, 지원, 제품 보증, 라이센스 보장 등 핵심 부분에서 높은 비용을 청구하지고, Windows는 초기비용이 들지만 직접 고객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사후 지원이 강력한 편이다.
'IT STUDY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Server] 1. VMware를 이용하여 서버환경 만들기 (0) | 2013.10.14 |
---|---|
[홈 폴더 만들기] 로컬 경로, 드라이브 연결 하기 (0) | 2013.07.23 |
[로그온 스크립트 만들기] 계정 생성, 공유 폴더 생성, 로그온스크립트 만들기, 적용 (0) | 2013.07.23 |
첫번째 HTML 과제 (HTML Frame 이용하기) (1) | 2013.07.23 |
IT cookbook의 Windows Server 2003 : 기본 이론에서 관리 실습 (0) | 201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