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특징주 분석

[코스피 코스닥] 상한가, 급등종목, 특징주, 테마 정리 (6월 28일)

반응형

 

 

 

 

 

+ 급등 종목

종 목 상한가
일수
사유
솔고바이오
(043100)

1,675원
(↑29.84%)
4 거래재개 나흘째 상한가
피에이치씨
(057880)

1,955원
(↑29.90%)
1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관계사 필로시스,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허가에 상한가
아이진
(185490)

39,750원
(↑29.90%)
1 mRNA/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플랜티넷
(075130)

13,750원
(↑29.72%)
1 이재명 성남시장 시절 청년 창업 육성 관련 업무협약에 자회사 참여 이력 부각 속 정치/인맥(이재명) 정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엔텔스
(069410)

11,100원
(↑29.67%)
1 이재명 경기도지사, 메타버스 활용 청년과 소통 소식 속 정치/인맥(이재명) 정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아진엑스텍
(059120)

11,500원
(↑29.50%)
1 메타버스 활용 본격화 속 XR글라스 국산화 주목 분석 등에 상한가
동양
(001520)

2,665원
(+24.24%)
  윤석열 전 검찰총장 대권 출마 선언을 앞두고 정치/인맥(윤석열)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이스타코
(015020)

5,990원
(+16.76%)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권 출마 선언을 앞두고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맘스터치
(220630)

4,655원
(+16.52%)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LS네트웍스
(000680)

5,510원
(+15.51%)
  대표이사 및 사외이사,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동문 사실 속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신일제약
(012790)

19,150원
(+14.67%)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등에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급등
아모센스
(357580)

18,200원
(+14.47%)
  신규상장 이틀째 급등
디엔에이링크
(127120)

4,620원
(+14.07%)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등에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급등
네이처셀
(007390)

27,350원
(+12.55%)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관계사 무릎관절염 치료제 '조인트스템' 기대감 지속 부각 등에 급등
이아이디
(093230)

570원
(+12.43%)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 델타변이에 강력한 효과 소식 등에 코로나19(스푸트니크V) 테마 상승 속 급등
연이비앤티
(090740)

4,980원
(+11.91%)
  올해 OLED TV 패널 출하량 급증 전망 등에 OLED 테마 상승 속 급등
마크로젠
(038290)

36,500원
(+10.44%)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업계 유일 정보보호 인증 3종 획득 소식 등에 급등
차바이오텍
(085660)

28,550원
(+9.39%)
  계열사 차백신연구소, 3세대 B형간염 예방백신 국내 임상 1상 승인 모멘텀 지속에 급등
폴라리스웍스
(123010)

2,070원
(+9.23%)
  교육부 모듈러 교실 검토 소식 속 이동형 학교 모듈러 사업 진출 부각에 급등

 

+ 코스피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포스코강판
(058430)

82,900원
(+5.34%)
포스코, 中 허베이강철과 합작사 추진 소식 속 수혜 기대감 부각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포스코와 중국 허베이강철이 온라인으로 중국 내 자동차용 도금강판 생산·판매를 위한 합작 계약 서명식을 갖고 각각 50%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로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포스코와 허베이강철은 각각 3억 달러(약 3,300억 원)씩 총 6억 달러를 투자해 허베이성 탕산(唐山)시 러팅(樂亭)경제개발구에 90만 t급 도금강판 생산공장을 지을 예정이며, 현재 포스코가 중국 광둥성에서 운영 중인 연산 45만 t 규모의 광동CGL도 합작사 자회사로 편입할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 그룹으로 표면처리강판 사업을 영위중인 동사의 수혜 기대감이 부각되는 모습.
비상교육
(100220)

12,150원
(+3.40%)
138.82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조달청 구매사업국과 138.8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06%) 규모 공급계약(국정도서 발행자 선정 (3차 납품계약)) 체결(계약기간:2021-06-28~2022-12-31) 공시.
코스맥스
(192820)

128,500원
(+2.80%)
2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KTB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4,037억원(YoY+6%), 영업이익 322억원(YoY+23%)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미국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예상보다 실적 흐름이 양호하며, 국내의 경우 매출액 2,236억원(YoY+7%), 영업이익 206억원(YoY-1%)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 특히, 전년동기 손소독제 역기저가 140억원(매출 비중 7%, 이익 비중 그 이상) 수준 존재하나, 고객사 전반 수출이 개선되면서 매출 유의미한 수준의 반등을 보인 것으로 분석.
▷아울러 중국의 경우 매출액 1,614억원(YoY+27%), 영업이익 161억원(YoY+47%) 추정하며, 온라인 고객사 오더 추이가 견고하고 618 쇼핑축제 수혜도 반영되면서 4~5월 시장 성장률을 여유있게 상회할 것으로 분석. 특히, 외형 성장과 수익성 중심 운영 기조에 비롯해 이익 증가가 가파를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 → 160,000원[상향]
LG하우시스
(108670)

95,300원
(+1.71%)
준불연 성능평가시험 강화 등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KTB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잇따르는 건축물 화재로 준불연 성능평가시험 강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유기물 단열재 생산업체인 동사의 투자 매력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특히, 고단열 성능에 화재안전성까지 갖춘 동사의 PF단열재는 4호라인을 증설중(생산 Capa 50% 증대)이며, 내년 상반기 중 완공되면 매출 성장 및 이익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국 주택시장 호황에 따른 인조대리석 수요, B2C 중심의 인테리어 사업 확대 등을 통해 매출 성장 및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어 적자 사업부인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 부문도 물량 회복으로 매출 및 수익성이 회복 중이며, LX그룹에 동사가 핵심 계열사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
대우건설
(047040)

8,220원
(-5.08%)
동사 인수전, 호반건설 불참 등에 따른 중흥-DS네트웍스 2파전 소식 속 하락
▷지난 25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최대주주인 KDB인베스트먼트(KDBI)와 매각주관사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메릴린치가 실시한 본입찰에 중흥건설과 DS네트워크 컨소시엄 등 2곳이 인수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재도전 이야기가 나오며 관심을 모았던 호반건설은 본입찰에 불참했으며,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투자청과 중국 건설사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 등 해외에서도 입찰 참여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으나 본입찰에는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KDBI는 동사의 최저입찰가로 주당 9,500원을 산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할 시 매각가는 2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코스닥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아이진
(185490)

39,750원
(+29.90%)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지난 25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30,600원임.
아진엑스텍
(059120)

11,500원
(+29.50%)
메타버스 활용 본격화 속 XR글라스 국산화 주목 분석 등에 상한가
▷리서치알음은 동사에 대해 메타버스의 산업현장 활용이 본격화되면서 동사가 개발중인 스마트팩토리용 XR글라스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 국내 최초로 모션제어칩 국산화에 성공한 동사는 XR 글라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LG CNS, 현대차, 삼성중공업 등이 산업현장에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등 메타버스 산업현장활용이 점차 확대되면서 XR글라스 수요가 동반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과 2024년 실증완료를 목표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이동식 협동로봇 실증사업도 진행중이라며, 정부 구매조건부 과제로 스위스 맥슨 모터와 모바일 로봇용 소형 액추에이터를 공동 개발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기여가 기대된다고 밝힘.
맘스터치
(220630)

4,655원
(+16.52%)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지난 25일 장 마감 후 주식가격 안정과 주주보호 및 기업이미지 제고를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1-06-25~2021-12-25, 미래에셋증권) 공시.
마크로젠
(038290)

36,500원
(+10.44%)
업계 유일 정보보호 인증 3종 획득 소식 속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제 표준 개인정보 보호 인증인 ISO27701을 취득했다고 밝힘. 동사가 이번에 취득한 ISO27701 인증은 국제표준화기구가 2019년 제정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표준 개인정보보호 인증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리절차, 비식별화, 암호화 등 49개 항목에 대한 관리 기준을 통가해야하며 국제 표준 인증인 ISO27001을 사전에 보유해야만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ISO27701 취득으로 국내/국제 최고 수준의 정보보호 인증 3종을 모두 취득한 업계 유일의 기업이 된 것으로 알려짐.
코렌텍
(104540)

17,350원
(+7.10%)
선두훈 대표이사 등 대상 3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강세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선두훈(대표이사) 등을 대상으로 182,920주(3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6,400원, 상장예정:2021-08-18) 공시.
룽투코리아
(060240)

6,820원
(+7.06%)
신작 모바일게임 블라스트M, 구글ㆍ애플 양대마켓 1위 달성 소식에 강세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서비스 중인 '블라스트M'이 지난 27일 기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인기 게임 순위에서 각각 1위를 달성해 양대 마켓 순위 상위권에 진입했다고 밝힘. 블라스트M은 지난 22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블라스트M' 이용자들의 높은 참여와 관심으로 출시와 동시에 양대 마켓 인기 순위 상위권에 진입했다"며, "향후게임의 안정적인 운영과 유저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블라스트M'의 차별화된 재미를 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힘.
NICE평가정보
(030190)

25,850원
(+7.04%)
정부 핀테크 정책 낙수효과 지속 전망 등에 강세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정부의 핀테크 육성 정책의 낙수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향후 My Data 사업자들에게 개인 CB 정보 제공을 통해 매출 증대가 예상되며, 토스뱅크 출범에 따른 추가 매출처 확보도 기대된다고 분석.
▷아울러 본업에서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 능력이 지속될 것이며, 100% 자회사인 지니데이타를 통한 Big Data 관련 매출 비중 증가에 따른 벨류에이션 레벨업도 기대된다고 전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33,000원[신규]
아시아경제
(127710)

5,460원
(+5.41%)
최대주주 KMH, 동사 보유 지분 매각 속 상승
▷동사의 최대주주인 KMH는 지난 25일 발행회사의 사업역량 제고를 위한 경영전문성 강화 목적으로(유)키스톤다이내믹제5호투자목적회사에 동사 주식 4,591,573주를 231.87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27.26%, 처분예정일:2021-08-09)했다고 공시.
▷한편, KMH가 지난 25일 545.99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을 결정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경영권 분쟁이 재발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함.
유비벨록스
(089850)

13,650원
(+5.41%)
BC카드와 IC카드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IC카드 시장 발급 1등의 회사인 BC카드와 IC카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BC카드에 전년도 약 180억 규모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는 전년보다 더 많은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또한, "인터넷전문은행 및 페이먼트전문회사 등 신규 고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올해 매출 및 이익증가를 통한 실적 향상을 자신한다"고 밝힘.
서진오토모티브
(122690)

3,045원
(+4.28%)
서진기차배건 유한공사(중국) 및 코모스 지분 처분 결정 속 상승
▷재무구조 개선 및 전기차용 감속기 투자재원 확보 목적으로 서진기차배건 유한공사(중국) 출자증권을 150.57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1-06-30) 공시.
▷아울러 재무구조 개선 및 전기차용 감속기 투자재원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코모스 지분 전량(260,519주)을 122.83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1-06-29) 공시.
파워로직스
(047310)

9,420원
(+3.86%)
김부겸 총리, 폐배터리 산업 지원 소식 속 관련 사업 진행 사실 부각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김부겸 국무총리가 지난 26일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를 방문해 정부 차원에서 폐배터리 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김 총리는 "사용후배터리 산업이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배터리 산업 강국인 우리나라가 사용후배터리 산업에서도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언급했음.
▷이에 현대차그룹과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진행중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특수건설
(026150)

14,000원
(+3.70%)
536.07억원 규모 공사수주에 상승
▷㈜태영건설과 536.0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6.96%) 규모 공급계약(도봉산옥정 광역철도 3공구 건설공사 중 환기구 및 터널공사) 체결(계약기간:2021-06-28~2025-09-30) 공시.
홈캐스트
(064240)

3,680원
(+3.66%)
87.18억원 규모 디스플레이용 Driver IC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지난 25일 장 마감 후 HEFEI ESWIN IC TECHNOLOGY CO.,LTD와 87.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1.43%) 규모 공급계약(디스플레이용 Driver IC 공급) 체결(계약기간:2021-06-24~2021-12-31) 공시.
바이브컴퍼니
(301300)

32,850원
(+3.14%)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 기대감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는 주로 공공부문에 AI를 이용한 문제해결솔루션(AI Solver)을 판매해 외형을 키우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하에 AI, 빅데이터 관련 공공 사업 수주가 늘고 있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AI Solver 매출이 외형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소셜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해주는 서비스인 썸트렌드의 지속적인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빅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썸트렌드의 매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며 주로 B2B로 매출을 창출했지만, B2C 서비스도 런칭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네패스
(033640)

39,900원
(+2.97%)
2분기 실적 바닥 통과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021년 1분기에 부진했던 연결 기준 실적은 2분기에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hip)의 수요가 견조하지만, 연결 실적을 턴어라운드시킬 정도의 기여는 제한적이기 때문 등으로 분석. 다만, 3분기의 연결 실적을 추정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이지만, 자회사들의 가동률 증가에 힘입어 분기 실적은 2분기에 바닥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
영우디에스피
(143540)

2,965원
(+2.95%)
SK텔레콤 등과 서빙로봇 상용화 관련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5일 SK텔레콤(SKT), 우리로봇, 코가플렉스, 바르미 인터불고호텔대구(인터불고호텔)와 AI(인공지능)서빙로봇 '서빙고'의 상용화를 위한 업무제휴를 위한 협약식(MOU)을 개최했다고 밝힘. 동사는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기술력을 살려 서빙로봇의 제품개발, 설계, 양산, 출하 등을 총괄할 예정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88330)

13,350원
(-4.30%)
BBT-877, 임상 2상 진입 지연 소식 속 하락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BBT-877의 임상 2상시험 실시를 위한 FDA C-Type 미팅 결과, 동사가 제출한 근거자료에 대한 추가 분석 자료제출을 권고 받음에 따라 보완자료를 준비하여 추후 재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공시. 이와 관련, 이정규 대표는 금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열고 FDA가 몇 가지 추가 실험(생체 내 실험을통한 혜성 분석, 기존 표준 치료제와의 약물상호작용 시험 등)을 거쳐 임상 2상 설계를 한층 더 공고히 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 2019년7월 최대 1조5,000억원 규모에 'BBT-877'을 독일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이전했지만, 약물 발암 가능성을 내포하는 '혜성 분석(Comet assay)' 결과로 지난해 11월 권리가 반환된 바 있음. 이후 동사는 세포 실험에서 약물에 따른 직접적 DNA 손상 결과가 아닌 고농도 약물 처리에 의한 세포 사멸에 따른 위양성(가짜양성)이라는 것을 확인한 뒤, FDA와 임상 2상 개시를 위한 C타입 미팅을 진행한 바 있음.
아프리카TV
(067160)

111,600원
(-5.10%)
코인게이트 논란 속 하락
▷언론에 따르면, 최근 아프리카TV에서 수억원대 '별풍선 '을 날리며 '회장님'으로 통하던 사업가가 추진하던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유명 아프리카TV BJ들이 선투자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키오스크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 업체인 글로벌오더는 '티오(T.O)코인'이란 암호화폐 발행과 상장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아프리카TV BJ인 노래하는 코트, 스타크래프트 전 세계 최고 프로게이머였던 이영호, 70만 유튜브 구독자를 확보한 '케이'와 염보성, 리그오브레전드 게임 방송으로 유튜브 구독자 약 70만 명을 확보한 '저라뎃', 창현, 수찬 등이 선투자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전일 언론에 따르면, 폭로 유튜버 구제역이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사실을 추가 폭로하겠다고 예고했으며, 코인게이트 명단에는 동사의 임원진 중 한명이 티오코인에 투자했다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지나인제약
(078650)

1,915원
(-5.20%)
최대주주 변경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메디포럼에서 지나인인베스트먼트로 변경 공시. 변경후 최대주주인 지나인인베스트먼트의 지분율은 6.90%임.

 

+ 특징 테마, 섹터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테마 시황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등에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마스크, 교육/온라인 교육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상승. mRNA 백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신속 대응 가능성 부각 등에 mRNA 테마도 상승.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 델타 변이에 강력한 효과 소식 등에 코로나19(스푸트니크V) 테마 상승.

▷7월1일 거리두기 개편 예정 속 영업제한 해제 수혜 기대감 부각 등에 골프 테마 상승.

▷국제 펄프가격 급등세 지속 및 택배물량 증가 수혜 기대감 등에 제지 및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역대 최고치 경신 소식 등에 해운 및 종합 물류 테마 상승.

▷올해 OLED TV 패널 출하량 급증 전망 등에 일부 OLED 테마 상승.

▷주요 철강사 2분기 호실적 기대감 지속 및 포스코-中 허베이강철, 합작사 추진 소식 속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시멘트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인상 기대감 지속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금리 인상 수혜 기대감 지속 및 중간 배당 기대감 등에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증권 등 금융 관련 테마 상승.

▷이 외 마켓컬리 관련주, 테마파크, LPG, 제대혈, 줄기세포, 사물인터넷, 화학섬유, 클라우드 컴퓨팅, 증강현실(AR), 조림사업, 페인트, CCTV & DVR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금감원, 크래프톤 공모가 고점 논란 속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소식에 크래프톤 관련주 하락.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속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면세점, 백화점, 카지노, 백신 여권 등 경제 재개 수혜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2차전지(생산), 탄소나노튜브(CNT), 자동차 대표주, MLCC, SNS, 폐기물처리, 밥솥, 반도체 대표주(생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웹툰, NI(네트워크통합), IT 대표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mRNA 등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델타 변이는 알파 변이보다 전염성이 60%가량 강하고 입원 치료 위험도 2배 높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글로벌 주요국에서도 델타 변이로 인한 확진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지난 25일(현지시각) 인도발 델타 변이에 대해 "지금까지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 가운데 가장 전염성이 높다"며, "델타 변이가 최소 85개국에서 확산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밝힘.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확산되면서 해외에서 감염된 뒤 국내에 들어온 확진자 수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전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첫째주(5월 30일~6월 5일) 하루 10명대이던 해외유입 확진자는 넷째주(6월 20~26일) 하루 40명대로 급증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8일 0시 기준 전일대비 501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됐다고 밝힘. 최근 닷새 연속 일일 코로나19 확진자 수 600명을 넘겼지만 주말 영향으로 확진자 수가 500명대 초반으로 감소함.

▷이 같은 소식에 피에이치씨, 디엔에이링크, 엑세스바이오, 마크로젠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피에이치씨는 관계사 필로시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중화항체 키트'의 수출용허가를 받았다는 소식도 호재로 작용.

▷아울러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해 변이 맞춤형 개발 속도가 빠른 mRNA 백신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아이진, 에스티팜, 서린바이오 등 mRNA(메신저 리보핵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mRNA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크를 만드는 유전자를 설계도 격인 mRNA 형태로 인체에 주입해 항체를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변이 바이러스가 스파크에 돌연변이가 생겨 나타나는 정보를 분석해 설계도만 바꾸면 쉽게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반면, 여행,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 백화점 등 경제 정상화 수혜 관련 테마는 하락세를 기록.
코로나19(스푸트니크V)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 델타변이에 강력한 효과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스푸트니크V 백신 개발과 해외 수출을 담당하고 있는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가 최근 변이에 대한 백신의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짐. RDIF가 인용한 아르헨티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 백신 접종 후 14일째에 접종자 85.5%에게서 변이주에 대한 항체가 형성됐고, 2차까지 모두 맞은 뒤인 42일째쯤에 들어선 항체 생성 비율이 거의 100%까지 올라간 것으로 전해짐.

▷한편, 언론에 따르면, '스푸트니크V'를 위탁생산하기로 한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이 1회 접종 백신인 '스푸트니크 라이트'의 생산도 맡을 것으로 알려짐. 앞서 휴온스글로벌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보란파마·휴메딕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스푸트니크V 백신 완제품 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이아이디, 이트론, 이화전기, 이수앱지스 등 코로나19(스푸트니크V)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골프 7월1일 거리두기 개편 예정 속 영업제한 해제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오는 7월1일부터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가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수도권은 2단계, 그 밖의 지역은 1단계로 거리두기가 시행될 예정. 이에 따라 수도권과 제주도에서는 6명, 이 외 지역에서는 8명까지 사적 모임이 허용될 예정이며, 그동안 문을 닫았던 유흥시설 영업이 재개되고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제한 시간은 현재 밤 10시에서 12시로 확대될 예정.

▷한편, 지난 25일 SK증권은 골프존에 대해 스크린골프 피크 타임이 오후 7시부터 11시까지인 점을 감안할 시 기존 10시에서 12시로 영업시간이 늘어나면 일 평균 라운드수가 기존대비 최대 1라운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에 수도권 영업제한 해제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까스텔바작, 크리스에프앤씨, 휠라홀딩스, 골프존 등 골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제지/골판지 제조 국제 펄프가격 급등 및 택배물량 증가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최근 국제 펄프(SBHK)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펄프 가격은 t당 925달러로 전년동월대비 60.87% 급등한 것으로 전해짐. 펄프 가격은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는 모습.

▷펄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제품 가격 인상 등에 따른 제지 업체들의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제지업계 관계자는 "국내 펄프 생산량이 수요를 못따라가는 상황"이라며, "업계 전반적으로 핵심 원료인 펄프를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이라고 밝힘.

▷아울러 온라인 쇼핑 시장이 늘어나며 택배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대림제지, 한국수출포장, 한솔제지, 신대양제지, 아세아제지 등 제지/골판지 제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해운/종합 물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역대 최고치 경신 소식 등에 상승
▷지난 25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전주대비 37.04P 상승한 3,785.40P을 기록. 이는 SCFI가 2009년 10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 수치임.

▷아울러 철광석과 석탄, 곡물 등을 실어 나르는 벌크선의 운임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지난 25일 기준 3,255를 기록했음. 비록 지난 17일 3,267를 기록하며 2010년 6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던 것보다 소폭 하락했으나, 올해 2월 1,300대 수준이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치솟은 수준임.

▷이 같은 소식에 HMM, 팬오션, 인터지스, 동방 등 해운/종합 물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올해 OLED TV 패널 출하량 급증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올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패널 출하량이 지난해 대비 86% 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시장조사기관 옴디아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OLED TV 패널 출하량을 기존 810만대에서 830대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지난해 출하량 450만대에서 약 86% 늘어난 규모임.

▷또한, 옴디아는 OLED TV 패널을 독점 생산 중인 LG디스플레이가 연초에 제시한 올해 출하량 목표치 800만대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

▷이에 금일 HB테크놀러지, 연이비앤티, 와이엠씨, 영우디에스피 등 일부 OLED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크래프톤 관련주 금감원, 크래프톤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지난 25일 금융감독원이 크래프톤에 대해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정정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짐. 크래프톤은 그동안 지나친 고 PRR(주가수익비율) 산정으로 논란이 돼 왔으며, 시장에서는 금감원이 35조원에 달하는 크래프톤의 기업가치에 대해 공모가 산정 기준을 명확히 제시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음.

▷한편, 금감원이 공모가 거품 논란에 제동을 걸면서 일반 투자자 청약 일정도 다음달 21~22일로 조정될 전망임.

▷이 같은 소식에 넵튠, 아주IB투자, 대성창투 등 크래프톤 관련주가 하락세를 기록.



 

 

해당 데이터는 인포스탁(www.infostock.co.kr)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참조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