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Packet Tracer를 이용하여 실습하기 앞서
가장 기본적인 설정 및 IP설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라우터,스위치의 4가지 모드
Switch>
Switch>
User Mode = 유저모드는 '>'표시가 나오는 상태로 스위치 상태 보기만 가능하고 주로Ping Test를 하기위해 사용된다.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여 Privileged Mode 로 들어갈 수 있다.
Switch>enable
Switch#
Switch#
Privileged Mode = 프리빌리지 모드는 관리자 모드라고도 불리며 '#'표시가 붙여진다. 주로 show 명령어를 통해 장비의 구성및 상태를
확인 할 때 사용 된다. configure terminal 명령어를 사용하여 Global Mode로 들어갈 수 있다.
Switch#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Switch(config)#
Global Mode = '(config)' 표시가 붙으며 이부분에서 호스트 설정 및 IP설정등 대부분의 작업이 처리되는 곳 이다.
interface 명령어를 사용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Switch(config)#interface vlan1
Switch(config-if)#
Switch(config-if)#
Interface Mode = (config)에 if가 추가된 (config-if)를 표시하며 해당 인터페이스의 상세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해당 인터페이스의 IP나 Subnet값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2. 모드 빠져나가는 방법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
Switch(config)#
Switch(config)#^Z
Switch#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Switch#
Switch#
exit를 이용하면 한단계 전으로 빠져나가고 ctrl +Z 를 누르면 바로 프리빌리지 모드로 들어 갑니다.
'IT STUDY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Layer] 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티드 프로토콜,스태틱, 다이나믹 (0) | 2013.10.21 |
---|---|
[Switch] vlan 설정하기 (0) | 2013.10.17 |
[Switch] 기본적인 설정 및 IP설정 (0) | 2013.10.14 |
[Cisco PacketTracer] 1.간단한 네트워크 구성하기 (H:2) (0) | 2013.09.15 |
[Cisco PacketTracer] 2.간단한 네트워크 구성하기 (H:4 / SW:2 / R:1)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