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Switch의 기본적인 셋팅과 IP설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Chapter 1 - HostName 바꾸기
첫번째로 스위치나 라우터를 사면 해야될것이 장비에 대한 HostName 설정과 Password설정입니다. Password설정은 다음시간에 더 상세하게 다루도록 하고
HostName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어디서 명령어를 치나요?? 해당 스위치의 CLI에가서 작업을 하면됩니다.
Switch#configure terminal ← Global Mode(구성 모드)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config)#hostname SW-1 ← 호스트 이름을 SW-1로 지정
SW-1(config)# ← Switth에서 SW-1로 이름이 바뀐모습
-------------------------------------------------------------------------------------------------------------------------------------------------
Chapter 2 - SW-1 IP 및 SubnetMask값 주기
통신을 하기 위해서 IP,SubnetMask가 필수라는거 아시죠?? 스위치는 IP, Subnet설정을 설정은 안해줘도 되지만 라우터는 필수!!! 입니다.
<1-1005> Vlan interface number ← vlan은 1-1005까지 임의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SW-1(config)#interface vlan 1 ← vlan1의 인터페이스모드로 접속
SW-1(config-if)#ip address 192.168.0.1 255.255.255.0 ← IP와 SubnetMask값 삽입
* 제대로 구성되었는지도 확인해 볼까요?
Vlan1 is administratively down, line protocol is down
Hardware is CPU Interface, address is 0002.17e0.e068 (bia 0002.17e0.e068)
Internet address is 192.168.0.1/24 ← 제대로 잘 들어갔네요
MTU 1500 bytes, BW 100000 Kbit, DLY 10000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Encapsulation ARPA, loopback not set
ARP type: ARPA, ARP Timeout 04:00:00
Last input 21:40:21, output never, output hang never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never…………..
-------------------------------------------------------------------------------------------------------------------------------------------------
Chapter 3 - Default G/W 설정하기
만약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은 구성일때 A스위치가 B스위치로통신을 하기위해선 Default G/W를 구성해야합니다. Default G/W설정은 다른것과 다르게 프리빌리지 모드에서 작업됩니다.
[다른 네트워크에 통신하기 위해선 뭐가 필요한가요??]
* 정답은 G/W가 필요하죠!! 그럼 설정해볼까요?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1(config)#ip default-gateway 192.168.1.1 ← G/W 설정
-------------------------------------------------------------------------------------------------------------------------------------------------
Chapter 4 - MAC address 설정하기
내부에서 통신할때는 MAC 주소를 보고 대상을 찾는다... 다아시죠??? 불변하고 중요한 대상에게는 static으로 MAC address를 설정해야합니다.
자세한 설정은 다음에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 S/W Mac-address 정적으로 설정하기
*사용 방법 형식 = mac-address-table static [Mac Address] vlan [vlan-id] interface [interface-id]
SW-1(config)#exit
SW-1#
* 다음으로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해야겠죠?
Mac Address Table
-------------------------------------------
---- ----------- -------- -----
SW-1#
이렇게 간단한 S/W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vlan에 대한 설정을 제대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
'IT STUDY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Layer] 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티드 프로토콜,스태틱, 다이나믹 (0) | 2013.10.21 |
---|---|
[Switch] vlan 설정하기 (0) | 2013.10.17 |
Cisco Switch & Router의 4가지 모드 (0) | 2013.10.14 |
[Cisco PacketTracer] 1.간단한 네트워크 구성하기 (H:2) (0) | 2013.09.15 |
[Cisco PacketTracer] 2.간단한 네트워크 구성하기 (H:4 / SW:2 / R:1) (0) | 2013.09.15 |